순창 전통한옥생활체험관 초연당

가장 한국적인것이 세계적인 것! 우리것은 소중합니다. 아름답고 우수한 전통한옥은 지키고 보호해야 할 우리의 소중한 문화입니다.

지친 현대인의 휠링 장소 전통한옥생활체험 초연당! 자세히보기

초연당/전통 체험 & 문화행사

설날에는 왜 떡국을 먹을까요?

초연당웹지기 2024. 1. 4. 11:19
황매실원액

 

어느덧 2024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떡국 모두 드셨지요? 떡국을 먹든 안 먹든 나이는 한 살씩 더해지는데 우리 선조들은 떡국을 먹어야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고 얘기합니다.  어렸을 때에는 빨리 어른이 되고 싶어 떡국을 많이 먹으면 나이도 많이 먹겠구나 싶어 여러 그릇을 먹었더랬어요.

떡국은 흰떡을 썰어 육수에 넣고 끓여 국이나 탕으로 만들어 새해 첫날과 설날에 먹는 우리나라 전통음식입니다.

문득 우리나라는 왜 설날에 떡국을 먹는 걸까? 궁금해져서 여러 자료를 찾아보았어요.
오늘은 떡국 유래를 살펴보려 합니다.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에서는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속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불분명하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조선후기 『동국세시기』·『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등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문헌에 정조차례(설날 아침에 조상에게 지내는 제사)와 세찬에 없어서는 안 될 음식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  육당 최남선(崔南善)도 『조선상식(朝鮮常識)』에서 "우리 민족이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속은 상고시대 이래 신년 제사 때 먹던 음복 음식에서 유래된 것" 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설날은 천지만물이 새로 시작되는 날로,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원시종교적 사상에서 깨끗한 흰 떡으로 끓인 떡국을 먹게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음복 문화에서 발달한 떡

오색가래떡 출처:wikimedia

떡의 재료는 우리가 잘 아는 바와 같이 맵쌀과 찹쌀입니다. 약 4천 년 전의 것으로 보이는 강화도에서 발견된 볍씨 자국이 있는 토기와 경기도에서 발견된 볍씨는 당시 벼가 재배되었음을 알려줍니다. 청동기 시대 탈곡을 거쳐 조리된 쌀밥은 매우 귀하였을 거예요. 쌀밥이 특별식이던 사회라면 당연히 쌀로 만든 떡은 신찬이 되었겠지요. 각자 수장은 권위 계승을 위한 의례적 상징음식으로 절구와 절굿공이를 이요하여 벼를 탈곡한 후에 시루에 안쳐 쪄낸 떡을 신에게 바쳤습니다. 처음에는 찐 밥에서 출발하여 점차 떡으로 변모하였습니다. 떡은 제사를 올릴 때 빠 질 수 없는 귀한 공물이었습니다. 제사가 끝났을 때에는 신으로부터 복을 받기 위해 제장에 모여 이 떡을 나눠 먹었습니다. 이를 음복(飮福)이라고 하지요. 이는 옛 왕실에서부터 양반가, 서민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백제는 논농사를 국가 차원의 기초 산업으로 관리하였는데 이는 쌀이 부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풍부한 영양과 탁월한 맛을 지닌 쌀은 사회 조직을 변화시켰습니다. 풍년에는 벼를 저장하였고 흉작을 예방하기 위해 여러 다양한 방법을 동원했지요. 그중 제사를 빼놓을 없겠지요. 청동기시대 신에게 풍작을 기원하는 제사를 올릴 때 찐 밥과 떡을 올렸는데 이것이 제사음식의 기본이 되었습니다.

공주 산성시장의 방앗간에서 가래떡 뽑고 있다 출처 : 문화투데이 구재숙 기자

맷돌과 체는 고구려와 백제 전기에 낙랑을 통해 중국에서 유입되었습니다. 절구와 절굿공이는 이미 청동기시대 이후 곡물 제분으로 이용되고 있었습니다. 습식제분을 이용해 시루에 쌀을 찌면 시루떡이 되고, 떡메로 치면 전편과 가래떡이 됩니다.

초기 철기시대(고구려, 백제, 신라 건국 초)에는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밀가루로 만든 병(餠)과 밀가루 이외의 곡물로 만든 이(餌)가 전래되었는데요. 우리나라는 밀이 거의 산출되지 않아 중국에서 수입하는데 의존해서 매우 귀한 곡물이었다고 합니다. 때문에 밀가루는 조선시대 말까지도 매우 귀하게 여겼다고 합니다. 그래서 밀가루제품을 지칭하는 '병'이라는 한자어만을 사용하여 밀 이외의 곡물 떡에는 '병'을 붙였다고 합니다.

조선 후기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는 현종 15년에 홍석모가 우리나라 세시풍속들에 대해 기록한 책입니다. 1월에서 12월까지 1년간의 세시풍속들을 월별로 기록하였는데요. 떡국이 희다고 해서 '백탕' 또는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고 해서 '병탕'이라고 했다고 합니다.

옛사람들은 병탕을 몇 사발 먹었느냐고 하면서 나이를 물었는습니다. 떡국을 첨세병, 즉 나이를 더하는 떡이라고 불렀답니다.

떡국과 나이의 유래는 조선 후기 즈음에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옛 문헌에 따르면 설날에는 떡국차례를 지냈는데 밥 대신 떡국을 올려 차례를 지내고 이를 음복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옛 시절에는 지금의 떡국과는 모습이 다를뿐더러 나이와의 연관성도 찾아 볼 수없다고 합니다.

 

새해 가래떡을 먹는 이유

가래떡 출처: 전통문화포털

새해에는 왜 떡국을 먹을까요? 이유는 떡국의 모양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가래떡은 희고 깁니다. 

  1. 새로운 시작, 갱생부활
  2. 무병장수
  3. 재물 기원

설날은 모든 것이 새로이 시작된다는 의미로,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정결히 하고 맑은 물에 하얀 떡을 넣어 끓여 떡국을 먹었습니다. 이 가래떡의 흰색은 근엄하고 청결함, 좋지 않은 일들을 깨끗이 씻어버리고, 좋은 일들만 있기를 기원하는 의미입니다. 가래떡은 아주 긴 모양의 떡이므로 오래오래 살라는 의미도 담겨 있습니다. 방앗간에서 가래떡 뽑는 모습을 보았는데 정말 길게 쭉~쭉 떡이 나오는 것을 보고 자르지 않으면 아주 긴 떡이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같은 의미로 중국과 일본에서는 긴 국수를 먹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긴 떡을 꾸덕하게 말려 엽전 모양으로 썰어 떡국으로 끓이는데요. 동그란 엽전 모양의 떡처럼 재물이 많이 불어 나 풍족한 삶을 살기를 기원했습니다.

떡국은 지금처럼 고도로 의술이 발달되지도 않고 먹거리가 풍부하지 않은 시절이니 단명과 굶 주름에 시달렸던 옛 조상들의 간절한 소망이 담긴 음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흰 가래떡을 길게 뽑아 동글동글하게 썰어 탕으로 끓여 먹는 이유를 이제는 알 것 같습니다.  무병장수와 재물 복 그리고 풍년을 기원하는 조상들의 간절함이 음식문화에서도 엿보이네요.

 

지방마다 다른 떡국

조랭이 떡국 출처: 우리의 식탁(https://wtable.co.kr/)

 

농진청이 전국 9개도의 전통향토음식을 조사 발굴한 결과(1999∼2005), 설 명절에 조리해 먹는 떡국은 20개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보면 개성지역은 조랭이떡국, 충청도지역은 구기자떡국·다슬기떡국·미역생떡국, 전라도지역은 두부떡국·꿩떡국·굴떡국, 경상도지역은 태양떡국·굴떡국·메밀떡국 등이 유명하다. 출처 : 농촌여성신문(https://www.rwn.co.kr)

 

강원도 만두떡국

강원도의 떡국은 진한 사골육수에 만두와 떡을 함께 넣어 담백하게 끓여 먹습니다. 북쪽 지방으로 올라갈수록 만두를 넣어 떡국을 끓여 먹는 곳이 많다고 합니다.

개성 조랭이 떡국

조랭이떡의 모양을 보면 마치 누에고치 모양인데요 이는 조랭이가 재물과 풍년을 가져온다고 하여 새해에도 재물이 넘쳐 나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조랭이떡 모양의 떡국을 먹는다고 합니다. 조랭이라는 이름은 조롱박 모양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요.  지금은 기계로 모양을 쉽게 뽑아내지만 옛 시절에는 긴 가래떡을 썰어 대나무 칼로 가운데를 눌러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경상도 굴떡국

경상도는 남해에 인접해 있는 지역으로 해산물이 풍부합니다. 떡국에도 고기 대신 굴을 넣어 시원한 맛을 내 먹습니다. 굴은 타우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주는 효능이 있으며 성인병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는 꿩고기를 사용해 육수를 내고 꿩고기 고명을 올려 떡국을 끓여 먹었습니다. 꿩고기는 궁궐이나 양반가에서 떡국 고명으로 사용하였다고 하는데요 '하늘 닭'이라는 의미로 좋은 일을 가져오는 동물로 여겨 귀하게 대접받은 고기입니다. 그런데 꿩은 야생동물로 사냥을 통해 구했기 때문에 일반 서민들은 먹기 어려워 대신 꿩과 비슷한 닭을 이용했다 합니다. 꿩 대신 닭이라는 말이 괜히 나온 말은 아니네요.

전라남도 닭장떡국

전라도 남쪽 떡국은 닭을 잡아 진하게 육수 내 간장에 조려서 닭장을 만듭니다. 닭고기는 고명으로 쓰고 이 짭짤한 닭장을 육수로 활용하고 간도 감칠맛 나게 맞춰서 떡국을 끓여 먹습니다. 

전라북도 두부떡국

전라북도는 닭 육수와 두부를 납작하게 썰어 떡국에 넣습니다. 닭고기와 두부가 함께 들어가 단백질 보충에 매우 탁월한 전북의 향토 음식입니다.

충청남도 구기자떡국

충남은 지역 특산물 구기자를 넣어 떡국을 만들어 먹습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아홉 가지 효능을 가진 구기자를 넣어 영양이 풍부하고 색깔도 노란빛을 띠어 매우 먹음직스러운 떡국입니다.

충청북도 미역생떡국

충북 지방은 날떡국을 끓여 먹습니다. 충청도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즐겨 먹던 겨울철 별미 음식이라고 합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멥쌀가루를 익반죽 하여 날떡국을 끓여 먹습니다. 다른 지역은 이미 가래떡을 만들어 썰어서 넣어 끓이는 반면 충북은 익반죽 한 생떡을 넣어 끓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감칠맛을 더 하기 위해 미역은 들기름으로 불리고 들깨가루를 넣습니다.

지역에 따라 육수가 다른데요. 보통은 쇠고기나 사골 육수를 사용합니다. 사골국물은 정말 뽀얀 흰 국물이라 하얀 떡 위에 오색 고명을 올리면 참 먹음직스럽습니다. 닭육수나 멸치육수는 감칠맛이 나고 국물이 투명하고 깔끔합니다. 이 밖에도 굴이나 매생이, 미역 깔깔한 맛을 내기 위해 간혹 배추김치등도 함께 넣기도 합니다. 한국 음식에 고춧가루가 안 들어간 음식 중 하나로 맵지 않고 담백한 맛이 특징입니다.

정리해 보면 긴 가래떡은 장수와 건강을, 엽전처럼 동글동글하게 썬 떡은 재물 복을, 고명으로 올리는 오색고명은 우리 고유의 전통색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이제 만 나이를 채택하여 전통적인 설날에 떡국을 먹었다고 해서 한 살 더 먹는 것은 아니지만 새해 복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맛있게 먹으면 좋겠습니다. 식당 분식점에 가면 명절이 아니더라도 언제든지 먹을 수 있는 떡국이지만 새해에 먹는 떡국은 한 해의 복을 기원하는 의미에서 남다릅니다.